-
교황청의 타협, 종교의 독립성 위기해외뉴스 2024. 11. 20. 20:49
교황의 지난해 9월 몽골 방문 모습[AP 연합뉴스 자료사진 ] 최근 교황청이 중국과 주교 임명에 관한 합의를 연장한 사실이 드러나며 세계 가톨릭계는 충격에 휩싸였다. 이 합의는 교회가 아닌 국가가 종교 지도자 임명에 개입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를 묵인하는 모습을 보이며 교회의 독립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교황청은 "존중과 대화"를 강조하며 중국과의 협력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 존중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의문이다. 수십 년간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신앙을 지켜온 중국의 지하 교회 신자들은 이 합의에 당혹감을 감추지 못한다. 그들이 목숨을 걸고 지켜온 독립적인 신앙이 이제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종교적 자유의 본질을 위협한다.
이번 합의는 가톨릭 교회가 중국 정부의 압박에 굴복한 것처럼 비춰진다. 주교 임명이라는 중요한 종교적 결정이 더 이상 교회 내부의 일이 아니라, 국가의 허락을 필요로 하는 일이 된 것이다. 교황청은 이러한 상황에서 독립적 입지를 지키기 어려워 보인다. 교황 프란치스코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침묵을 지키며 대응을 미루는 모습은 신자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있다.
이 문제는 중국만의 특수 사례가 아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종교 지도자는 국가의 권력을 함께 가진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국왕이 종교적 권위를 행사하고, 이란에서는 최고 지도자가 정치와 종교적 권위를 동시에 가진다. 이런 국가들에서는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으며, 종교적 자유보다 국가의 통제가 우선된다.
결국 이번 교황청과 중국 간의 합의는 종교가 정치의 도구로 전락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남는다. 종교는 신앙과 도덕을 지키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이번 합의는 종교의 본질이 정치의 하위 요소로 취급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신자들은 이러한 타협의 결과를 감내해야 하며, 종교적 독립성에 대한 문제는 더 이상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었다.
종교 지도자가 국가의 승인 없이 탄생할 수 없는 시대가 현실이 되었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 다시금 숙고해야 할 때이다.
'해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습과 비리로 얼룩진 대한예수교장로회, 신뢰를 잃다 (1) 2025.02.12 2017년 미얀마 로힝야족 인종청소와 교황의 침묵: 도덕적 리더십의 딜레마 (0) 2024.10.26 프란치스코 교황, “레바논 공습 용납할 수 없다” 발언이 던진 논란의 파장 (2) 2024.10.25 천주교 대전교구 미성년자 성추행 사건: 신뢰 무너뜨린 교회의 민낯 (0) 2024.08.16 인천가톨릭대학교 신학생 성추행 사건, 교회의 침묵과 구조적 문제 드러나 (0) 2024.08.13